2023학년도 2학기
김효원,「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 예술적 경험에 대한 해석의 한계와 대안으로서의 신경미학적 연구」
김이영,「체험형 전시를 통한 존 듀이의 미술관 비판 극복가능성」
이영서,「2010년대 이후 광고의 예술적 성질 – 단토의 예술의 조건을 활용하여」
장순원,「‘두 번째 네오아방가르드’미술의 제도비판 가능성: 핼 포스터의 ‘preempt’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조예은,「1960-70년대 이일의 미술비평 속 용어 ‘오브제’ 사용방식: 용어의 도입 과정에 관한 비판적 검토」
김예서,「들뢰즈 예술론에 기반한 베이컨 회화의 미학적 가치 및 그 한계」
이의영,「참여문학의 현대적 적용: 일본의 소년만화를 중심으로」
이수현,「딥페이크의 속성과 예술적 함의에 관한 고찰 -레프 마노비치의 뉴미디어 이론을 중심으로-」
정수민,「이미지 생성 인공지능은 어떻게 상상력과 작용하는가?: 빌렘 플루서의 기술적 상상력 개념을 중심으로」
서재호,「칸트 미학에서 미적 판단의 주관적 보편성에 대한 해석 제안」
이윤재,「작품을 도덕적으로 평가하는 기준에 관한 고찰 – 예술 외적 기준의 활용 가능성 제시 -」
김채현,「메타버스 환경에서 경험하는 예술에서의 아우라 발견 가능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제석,「현대 사회에서 ‘예술의 자율성(自律性, Autonomy)’은 가능한가? – ‘현대미술’, ‘대중문화’, ‘문화산업’을 중심으로 -」
이시진,「감각을 통한 미감적 판단의 확장 가능성 – 칸트의 숭고미와 들뢰즈의 논의를 중심으로 -」
정지혜,「메를로-퐁티의 몸 철학을 통해 본 공연 예술의 몸들: 공연자와 감상자 몸의 특성과 상호작용」
김시현,「비개념(非槪念)적 음악을 향하여 – 아도르노의 음악 미학과 니체 후기 미학을 중심으로 -」
최여루,「문학 종언의 시대, 문학의 가치 옹호를 위한 시론: 데리다의 해체주의 문학론을 중심으로」
고태영,「홍상수의 영화 제작 방식 속 즉흥성의 작용 양상 및 의미 : 장자 「제물론(齊物論)」 의 관점에서 본 <옥희의 영화> 제작 방식」
신다솜,「기후 위기 시대 ‘생경한 삶의 장소’로서의 환경에 대한 미적 경험 – ‘새로운 비인지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
김혜민,「『장자』 「제물론」 속 의식의 이해와 미학적 논의의 가능성 – 성심(成心)과 도(道), 호접몽(胡蝶夢)의 일관성 탐구 및 의상(意象)과의 연결 지점을 바탕으로」
손영준,「『장자』 내 ‘기술’ 비유의 의미 탐구 – 언어와 지식에 관한 문제 의식을 중심으로 -」
김미서,「극중극의 반정치적 기능과 사회 비판」
2023학년도 1학기
김주원,「음악 작품 존재론 논의와 현행 음악 패러다임의 접목 가능성 고찰: 스티븐 데이비스의 작품 판 형태(Musical Version) 논의를 중심으로」
이재성,「과장된 도덕적 가치」
정지혜,「인공지능 예술의 ‘예술’로서의 가능성 연구: CAN(Creative Adversarial Network)의 창의성을 중심으로」
이준영,「미적 태도론을 둘러싼 스톨니츠와 디키의 논쟁」
공일환,「함께 꾼 꿈: 벤야민 『파사젠베르크』의 ‘꿈집단’과 그 예술적 지향」
차우형,「롤랑 바르트의 「저자의 죽음」 및 초기 기호학으로 바라본 ‘순수한’ 독창성 – 2010년대 이후 한국 소설 내 아포칼립스 기호의 의미작용을 사례로 -」
이시은,「상품으로서 영화와 작품으로서 영화 – 아도르노의 시각을 중심으로」
한아름,「자크 라캉의 회화론으로 재구성한 영화론」
송혜영,「아리스토텔레스의 에 나타나는 개념을 통한 비극 감상 과정 이해 – 복수 서사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설원상,「관객참여형 연극에서 참여의 현대적 의의」
박지현,「인공지능 활용 창작물의 예술적 한계와 가능성」
지가영,「새로운 예술로서 컴퓨터게임의 특성과 함의」
구지인,「공공미술의 장소특정성 연구: 일상 공간에서의 미적 경험을 중심으로」
이수빈,「사진이미지를 활용한 회화 작품의 독창성과 회화 작가의 창작적 지위」
정윤지,「디지털 예술 사진의 푼크툼 – 공간의 푼크툼과 시간의 푼크툼을 중심으로 -」
엄부경,「곰브리치의 환영 이론: 월하임의 비판에 근거한 한계와 재검토」
이재성,「과장된 도덕적 가치」
2022학년도 2학기
황예정,「쓰레기같은 농담에 웃기: 유머에서의 온건한 자율주의 옹호」
팽동명,「크립키의 회의적 역설 속 언어공동체의 역할과 언어표현 예술의 의미에 관한 회의적 귀결」
이경서,「작품의 해석과 작가의 의도: 가설적 의도주의에 대한 의심과 온건한 실제 의도주의 옹호」
정채림,「『작별하지 않는다』에 드러나는 윤리적 주체화의 과정: 주디스 버틀러의 『윤리적 폭력 비판』을 중심으로」
박이상,「대중음악 속 훅(Hook)의 의미 도출을 통한 대중음악 평가」
심규리,「들뢰즈 『시네마』의 시간 이미지에 대한 분석 –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거울>을 중심으로」
송유정,「아리스토텔레스의 연극론에서 발견한 브레히트의 서사극적 가능성」
이호은,「영화 서사의 리듬에 대한 고찰 – 바슐라르의 ‘리듬’ 개념을 통해」
고민정,「아방가르드는 실패하였는가?: 뷔르거와 포스터를 중심으로」
김효림,「가상현실예술에서 아우라적 경험의 가능성에 대하여」
이서영,「귄터 안더스 매체 미학의 유효성 고찰」
김수영,「영화 <윤희에게> 속 사진의 의미를 통한 모녀 관계 분석 – 롤랑 바르트의 후기 사진론을 중심으로」
홍희주,「클레멘트 그린버그의 모더니즘 속 매체특정성 비판: 모더니즘 추상사진을 옹호하며」
이성재,「왜 광자(photon)를 두려워해야 하는가?」
정지수,「떠남으로써 실존 탐색하기: 「눈이 오면」 속 인물의 기분을 중심으로」
박주빈,「한국 현대 웹소설 분석: 니체의 르상티망 개념을 중심으로」
박성제,「과학에서의 천재: 패러다임 전환은 칸트적 천재인가?」
황연우,「미디어화된 공연(Mediatized Performance)이 초래한 새로운 의미의 관객 현존 – 온택트(Ontact) 공연으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하윤서,「’오브제’ 단어의 국내 사용 현황에 대한 비판적 점검」
임진서,「인공지능 예술에 대한 미학적 논의를 토대로 한 현행 저작권법에 대한 수정 제언」
안채은,「행위예술 작품의 시장 내 거래 가능성 – 티노 세갈의 ‘키스’를 중심으로」
이승우,「메타게임 “스탠리패러블”을 통해 고찰하는 게임의 미학」
2022학년도 1학기
이승연,「질병의 이름과 얼굴 -20세기 미국 에이즈 위기 언론 보도를 중심으로-」
김지훈,「게임 플레이어는 어떻게 허구에 참여하는가? 믿는 체하기(make-believe) 놀이로서의 컴퓨터 게임 탐구」
이진우,「지루함의 건축술 앰비언트 : 음악의 모호한 형식이 다중감각 지각을 이끄는 인지과학적 원리」
황운중,「에세이 공동(空洞)의 재전유: 공동화(公同化)에서 공동화(共動化)로 – 아도르노 에세이론과 그 현재성」
조수빈,「현대의 이미지 아카이브를 통한 ‘므네모시네’의 확장」
박수민,「볼 문화(Ball Culture)의 해방적 가능성 – 마르쿠제 미적 형식 개념을 중심으로」
유정은,「사회비판적 상업영화의 한계와 비판 – <오징어 게임>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중심으로 –」
김지수,「관계미술 속 공동체의 방향성: 동시대 국내 작품들을 중심으로」
박지호,「자율적 그래픽 디자인의 가능성: 랑시에르의 자율성 개념을 중심으로」
김유리,「곰브리치의 지각 심리학을 통한 애플 GUI 아이콘 디자인 분석」
김나은,「아동화에 대한 게슈탈트 심리학적 접근: 루돌프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을 중심으로」
박수빈,「차용미술(Appropriation art)과 “기생미술 (Parasite art)”에 대한 논의: 단토의 aboutness 개념을 통한 기생 미술의 미적, 예술적 가치 탐구」
이석원,「NFT 아트의 낙관론 검토: 선택 시스템과 창작을 중심으로」
2021학년도 2학기
박지희,「플라톤 미론 연구 : 『향연 』 향연 중 디오티마의 이야기 분석을 통해」
박진형,「메를로-퐁티가 기술한 지각적 세계 탐구 – 메를로-퐁티의 전기철학과 회화론을 중심으로」
김지훈,「Being John Malkovich : seen through Roland Barthes’ Mythologies」
이담덕,「상업화에 대한 코멘트로서의 한국 힙합 음악 연구 : 슈스터만의 ‘이중적 태도’ 개념을 중심으로」
조수빈,「고유한 진리 경험으로의 여정 – 가다머의 예술론 속 수용자의 역할」
김유진,「키치에 대한 양가적 감정 : 그린버그와 크로우의 키치 개념을 중심으로」
이여진,「NFT 시대의 예술작품: 미술 작품과 시장을 중심으로」
천우석,「NFT 예술 작품의 존재론적 지위에 대한 고찰 – D.데이비스의 작품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김동건,「허구적 개체에 대한 반실재론 : 믿는 체하기 존재론과 허구적 참」
유수빈,「’창의적 적대 신경망(CAN)’ 의 창의성에 대한 이해 – 마거릿 보든의 창의성 개념을 중심으로」
김신지,「칸트 미학에서 숭고의 지위 도덕에서 미로의 이행을 중심으로」
김명주,「리그오브레전드 LCK에서의 여성향유자의 양가적 위치에 대한 연구 – 본인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지효,「실재를 통한 주체 간 관계맺음의 가능성 –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영화 <공기인형>을 중심으로」
황미하,「모큐멘터리(mockumentary) 영화의 정서적 효과 기제에 대한 신경 미학적 연구 : PECMA 토르벤 그로달의 이론을 중심으로」
신재영,「애도의 완수와 미완, 그리고 아포리아: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환상의 빛>과 <걸어도 걸어도>를 중심으로」
윤영돈,「어머니로부터 여아에게로 : 멜라니 클라인(Melanie Klein) 정신분석학으로 본 장파 회화」
장하다,「재현불가능성에서 재현가능성으로 나아가기 : 랑시에르의 ‘문장-이미지’ 개념을 중심으로 한 볼탕스키의 작업 분석」
2021학년도 1학기
지소현,「서사물의 “틈새(gaps)” 연구: ‘몰입’으로의 적용과 드라마〈마더〉 분석」
김은서,「‘쇠퇴한 매체’의 재창안: <Concerto for Voice and Machinery(2007)> 분」
최예린,「미술과 치유: 일본군 ‘위안부’ 피해 생존자들의 미술 실천」
윤유정,「서사 바깥의 뉴로 서스펜스」
김명재,「신경과학자로서의 사진가: 진 창조에 대한 신경미학적 접근」
오정윤,「여자 아이돌의 몸 이미지의 전복적 해석 가능성」
이소현,「아도르노의 도덕철학 테제 분석: 현대인의 ‘미니마 모랄리아’에 대한 탐구」
박세은,「연극 그 이상의 예술로서의 NT Live」
박상유,「젠더 프리 캐스팅을 통한 젠더 다시 쓰기」
박지하,「리듬게임의 미적 경험: 존 듀이의 ‘하나의 경험’을 중심으로」
박유진,「인터넷 밈(Internet meme)에 대한 매체적, 지각적 분석」
최윤정,「들뢰즈의 시간-이미지를 통한 기억의 영화적 형상화: 〈화양연화〉 분석」
홍영기,「VR 경험에서 나타나는 ‘이중의 몸’: 메를로-퐁티의 지각 개념을 중심으로」
2020학년도 2학기
권윤영,「불쾌한 감정을 유발하는 반복적 경험의 가치 – <기생충> 과 <조커> 를 중심으로」
김윤범,「기술복제 이미지의 아우라적 경험: 벤야민의 초기 초상사진 논의를 중심으로」
신효재,「Art as Experience and Collective Identity: Latin Social Dance and Identity in a Multicultural Environment」
이은우,「라이브 카메라 연극과 텍스트의 종합 가능성 연구- 김정한의 <Everybody Wants Him Dead>와 이보 반 호브의 <All about Eve>를 중심으로」
정혜진,「동시대 관계미술 속 관계의 ‘미학(Aesthetics of Relations)’- 자크 랑시에르 미학 이론을 바탕으로」
조연우,「영화 <엑스 마키나> 와 <창세기>의 상호텍스트성: 롤랑 바르트의『S/Z』를 중심으로」
하지연,「‘여성적 글쓰기’와 ‘채식주의 글쓰기’의 교차 가능성- 수잔 레이시의 <Learn Where The Meat Comes From>의 경우」
한선아,「반 스펙터클적 “상황”의 구축: 크지슈토프 보디츠코의 작업을 중심으로」
구주현,「도나 해러웨이와 동시대 예술의 교차점 찾기: 「사이보그 선언」을 중심으로」
김세영,「추억에서 역사로 사적 기억으로부터: 벤야민의 공동체적 역사철학으로의 확장 가능성 연구」
김혜윤,「한국 아이돌 여성 팬덤의 주체성과 정치적 가능성- 2010년대 중반 이후를 중심으로」
배홍선,「니체의 몸 철학을 통해 본 현대 자기계발 담론 비판- 주체 구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오지하,「유튜브 뮤직비디오의 형식과 그 수용 과정에 대한 미학적 분석: 캐롤 버낼리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윤서용,「프레데릭 와이즈먼 다큐멘터리의 허구성에 대한 연구- 자크 랑시에르의 ‘다큐멘러티 허구’(documentary fiction) 논의를 중심으로」
임가영,「대중매체의 아시안 여성 재현방식과 주체적 재현의 가능성: 교차성 개념과 림킴의 <제너레아시안>을 중심으로」
정래훈,「새로운 삶의 양식인 ‘썸’에 대한 예술사회학적 접근- 게오르그 짐멜의 ‘연애 유희’ 개념을 중심으로」
정수빈,「브레히트 서사극의 현대적 변용을 통해 본 연극에서의 타자의 재현: 연극 <마우스피스>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