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엽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수여한 후, 미국 Temple University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예술학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저서 『예술에 대한 일곱가지 답변의 역사』, 책세상, 2007. 『너는 아름다운 사람』, 우리학교, 2013. 『예술에 대한 여덟가지 답변의 역사』, 증보판, 우리학교, 2020. 『다원주의 미학』, 북코리아, 개정판, 2020.  공저서 「아름다움, 그리고 연대의 복원」, 『대안, 새로운 지평을 연다』, […]

이해완

서울대 사회대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1986) 서울대 대학원 미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1989)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002). 현대영미철학의 분석적 방법론에 기초한 미학 및 예술철학의 주제들을 연구·교육하고 있다. 저서 『불온한 것들의 미학』, 21세기북스, 2020 『노엘 캐럴』 (컴북스 이론 총서),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역서 베네데토 크로체, 『미학』, 북코리아, 2017 (3인 공역서) 노엘 캐럴, 『비평철학』, 북코리아, 2015.  매튜 키이란, 『예술과 그 […]

신혜경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공 분야는 사회미학 및 공연예술미학이며 덕성여자대학교 교양학부 초빙교수로 재직했다. 저서 『대중문화의 기만 혹은 해방; 벤야민 & 아도르노』, 김영사, 2009. 공저서 『디지털 시대, 인문학의 미래를 말하다』, 사회평론 아카데미, 2024. 『중국 현대 오페라의 문화적 정체성』, 모노폴리, 2021. 『인문학의 성찰과 전망』, 사회평론, 2018. 『미학과 그 외연』, 월인, 2010. 『파시즘 미학의 본질』, […]

Peter W. Milne

주요논문 “Praescriptum: Kafka’s Two Bodies.” Philosophy Today, vol. 66, no. 3, Summer 2022, pp. 587-603. “In Statu Nascendi: Subjectivity and the Beautiful in Lyotard.” Miha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esthetics, vol. 86, no. 4, 2020, pp. 137-172. “Temporality and the Lyotardian Sublime: Kant between Husserl and Freud.” Journal of the British Society for […]

이정환

┃학술지 발표논문 1. “Wang Yangming Thought as Cultural Capital: The Case of Yongkang County.”Late Imperial China28, no.2 (2007): 41-80.   2. “Counterbalancing Egalitarian Benevolence: A History of Interpretations of Zhang Zai’s Western Inscription in Song China and Joseon Korea.”The Review of Korean Studies13, no.3 (2010): 117-149.   3.「주희도덕철학에있어서객관적규범의외적권위와도덕적자율성의화해-「古史餘論」에대한분석을중심으로」.인문과학(성균관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46 (2010): 151-177   4.「주희수양론에서실천주체와실천의지:두마음의이율배반을중심으로」.『철학사상』(서울대학교철학사상연구소) 37 (2010): […]

박상우

서울대학교 사회대 지리학과를 졸업하고,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 언어학부에서 예술과 문학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공분야는 사진 및 영상미학이며, 중부대학교 사진영상학과 조교수로 재직한 바 있다. 논문  “Les Empreintes digitales et Francis Galton”, Sociétés et Représentations, n° 28, (2009. 10): 207-219 「사진에서 영화로: 마레가 영화의 발명에 미친 영향」, 『AURA』, 2013. 「아방가르드미술과모홀리나기의매체미학」, 『현대미술사연구』, 2014. 「빌렘 플루서의 매체미학: 기술이미지와 사진」, […]

권혁성

서울대학교 미학과에서 학부과정과 석사과정을 마친 후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Albert-Ludwigs-Universität Freiburg)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편저서  「서양 고대미학의 주요 흐름들에 대한 소고」, 『미학 대계』, 제1권: 미학의 역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05. 공동 역서 『미학』, 베네데토 크로체 지음, 권혁성-박정훈-이해완 옮김, 북코리아, 2017. 07. 논문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실체가 갖는 세 가지 주요 표징들」, 『철학사상』 32, 2009. 05. 「아리스토텔레스와 레씽에서의 카타르시스: 그 미학적 […]

박정훈

서울대학교 미학과에서 학부과정과 석사과정을 마친 후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Albert-Ludwigs-Universität Freiburg)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근대미학사, 독일 근현대 예술철학의 주요 주제들을 연구·교육하고 있다. 저서 『미와 판단: 칸트의 <판단력비판> “미 분석” 강의』, 세창출판사, 2017. 『Moral, Religion und Geschichte. Untersuchung zum neuzeitlichen Sittlichkeitsbegriff in Hegels <Phänomenologie des Geistes>』, Königshausen & Neumann, 2016. 공저서 『우리와 헤겔철학』, 용의숲, 2016. 『역사를 바꾼 100책』, EB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