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입시 예시문항
– [A]그룹에서 2문제, 나머지 그룹에서 2문제에 답하는 것을 표준으로 합니다.
- Please answer English questions in English.
[A]
- 1. 미학의 문제와 방법을 거론하면서 미학의 학문적 구조에 대해 설명하시오. 이 과정에서 미학, 예술철학, 예술학, 예술사, 예술비평으로 지칭되는 각각의 영역이 어떻게 구분되는지 설명하시오.
- 2. 플라톤의 미론은 고대의 형이상학적 미론의 근원이자 대표 이론이다. 그것은 ‘사랑’에 대한 논의를 통해 제시되며 ‘이데아론’을 기반으로 삼는데, 이 미론의 중심 논지를 설명하시오.
- 3. 플라톤의 초기 사상에서 시인과 음송인은 ‘기술’이 아니라 ‘영감’으로 시를 짓고 노래한다고 설명된다. 이 영감론의 요지와 시에 대한 그것의 비판적 함의를 설명하시오.
- 4. 플라톤의 중기 사상에서는 그의 예술론을 대표하는 ‘시인추방론’이 제시된다. 이 논의는 그의 영혼론을 기반으로 삼는데, 그가 이 기반에 따라 시인을 추방하는 방식을 설명하시오.
- 5.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에 의해 비판된 시의 가치를 다시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시에 대해 ‘인지적-철학적 가치’를 인정한다. 이에 대한 그의 생각을 설명하시오.
- 6.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의 비극론을 통해 거론하는 ‘카타르시스’가 무엇인지를 기존의 대표적 해석들을 소개하며 설명하시오.
- 7. 아리스토텔레스가 생각하는 ‘이상적 비극’은 어떤 것인지 설명하시오.
- 8. ‘파인 아츠 시스템 (Fine-Art System)’이란 무엇을 가리키는 것이며 어떠한 과정을 거쳐 성립하였는지, 예술 개념의 변화와 연계하여 설명하시오.
- 9. 근대 취미론(theory of taste)에 대해 설명하시오.
- 10. 바움가르텐의 ‘미학(Aesthetica)’, 칸트의 ‘초월론적 감성학(Ästhetik)’, 그리고 칸트의 ‘판단력의 초월론적 미학(Ästhetik)’을 비교하시오.
- 11. 예술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칸트와 헤겔의 설명을 비교하시오.
- 12. 아름다움에 대한 칸트와 헤겔의 설명을 비교하시오.
- 13. 예술철학으로서 미학의 성립 근거에 대한 헤겔의 생각을 설명하시오.
- 14. 헤겔 미학에서 ‘예술미의 특수한 형식들을 향한 이상(Ideal)의 전개’ 과정을 건축, 조각 및 회화를 함께 거론하면서 설명하시오.
- 15. 예술의 본질을 표현으로 보는 입장과 형식으로 보는 입장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것이 등장하는 역사적 배경과 기본 주장, 그러한 주장의 정당성 여부에 대해 설명하시오.
참고문헌
<원전>
– 플라톤, 천병희 번역, 『플라톤 / 이온, 크라튈로스』, 도서출판 숲, 2014.
박종현 번역, 『고르기아스, 메넥세노스, 이온』, 서광사, 2018.
(각 번역본에서 ‘이온’ 부분)
– 플라톤, 박종현 번역, 『플라톤의 국가-정체』, 서광사, 1997.
천병희 번역, 『Politeia / 국가』, 도서출판 숲, 2017.
(2권 376e ~ 3권 398b, 10권 595a ~ 608b)
– 플라톤, 강철웅 번역, 『향연』, 이제이북스, 2010 (201d ~ 212a)
– 플라톤, 조대호 번역, 『파이드로스』, 문예출판사, 2008.
김주일 번역, 『파이드로스』, 이제이북스, 2012 (244a ~ 257b)
– 아리스토텔레스, 천병희 번역,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문예출판사, 2002 (1장 ~ 15장)
– 바움가르텐, 김동훈 번역, 『미학』, 마티, 2019 (§§1-27, 115-118, 423-444)
– 흄, 김동훈 번역, 『취미의 기준에 대하여; 비극에 대하여 외』, 마티, 2019 (“취미의 기준에 대하여”)
– 칸트, 백종현 번역, 『판단력비판』, 아카넷, 2009 (§§1-22, 43-54)
– 헤겔, 이창환 번역, 『미학강의1』, 세창출판사, 2021 (17~147쪽)
<해설서 단행본>
– 미학대계간행회 편, 『미학대계』 (전 3권), 서울대출판부, 2006.
– 김진엽, 하선규 편, 『미학』, 책세상, 2007.
– 오병남, 『미학강의』, 서울대출판부, 2003.
– 오병남, 『미술론강의』, 세창출판사, 2014.
– 타타르키비츠, 손효주 번역, 『미학의 기본 개념사』, 미술문화, 1999.
– 셰어, 박정훈 번역, 『미와 예술』, 미술문화, 2016.
– 김율, 『서양고대미학사강의』, 한길사, 2010.
– 서양근대철학회 편, 『서양근대미학』, 창작과비평사, 2012.
– 박민수, 『바움가르텐의 <미학> 읽기』, 세창미디어, 2015.
– 박정훈, 『미와 판단: 칸트의 <판단력비판> “미 분석” 강의』, 세창출판사, 2017.
– 박배형, 『헤겔 미학 개요: <미학강의> 서론 해설』,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 서정혁, 『헤겔의 미학과 예술론』, 소명출판, 2023.
<논문>
– 권혁성, 「“영감” 개념에 따른 플라톤의 시 이해: 『국가』의 시 논의와 일치하는 그것의 비판적 입장에 관하여」, 『미학』, 제84권 1호, 2018.
– 권혁성, 「아리스토텔레스와 비극의 카타르시스: 주도적 해석들의 재검토를 통한 새로운 해석의 시도」, 『서양고전학연구』 제53권 1호, 2014.
– 권혁성, 「아리스토텔레스의 이상적 비극과 ‘하마르티아’」, 『서양고전학연구』 제58권 2호, 2019.
– 권혁성, 「플라톤의 시인추방과 영혼이분: 『국가』 10권 602c-608b를 중심으로」, 『서양고전학연구』 62-2, 2023.
– 김남두, 「플라톤의 예술이해」, 『미학대계』, 서울대학교출판부, 제1권, 2007.
– 김헌,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의 세 개념에 기초한 인간 행동 세계의 시적 통찰과 창작의 원리」, 『미학대계』, 서울대학교출판부, 제1권, 2007.
– 박정훈, 「감성학으로서의 미학: 데카르트에서 바움가르텐까지」, 『미학』 제82권 3호, 2016.
– 박정훈, 「미학의 시작, 감성학: 바움가르텐의 <에스테티카>에 나타난 철학적 미학의 현재적 의의」, 『미학』 제85권 2호, 2019.
– 박정훈, 「감성학과 취미비판: 바움가르텐과 칸트의 미학 구상」, 『미학』 제83권 4호, 2017.
– 박정훈, 「칸트의 초월론적 취미론: 취미의 미적 성격을 중심으로」, 『미학』 제84권 3호, 2018.
– 박정훈, 「칸트의 초월론적 취미론: 취미의 반성적 성격을 중심으로」, 『미학』 제87권 4호, 2021.
– 박정훈, 「예술의 역사와 종교의 역사: 헤겔 철학 체계에서 절대정신과 세계사의 연관」, 『미학』 제81권 4호, 2015.
– 박정훈, 「후마누스와 장미십자가: 괴테와 헤겔이 본 종교와 예술」, 『미학』 제84권 1호, 2018.
[동양미학]
1. 장자의 예술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육기(陸機)의 『문부(文賦)』 혹은 유협(劉勰)의 『문심조룡(文心雕龍)』에 나타난 문학 창작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장언원(張彦遠)의 『역대명화기(歷代名畵記)』를 중심으로 중국 당대 회화 창작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중국 송대 물아(物我)관과 미적 태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소식(蘇軾)의 예술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참고문헌
-안동림 번역, 『莊子』, 현암사, 1998
-육기, 이규일 역해, 『문부』, 한국학술정보, 2010
-유협, 『문심조룡』
-장언원, 조송식 번역, 『역대명화기』, 시공사, 2008
-이정환, 「독창성과 자연성: 칸트 천재와 예술 개념에 근거한 소식의 예술 창작론의 특징 분석」, 『미학』 제81권 1호, 2015
-이정환, “중국 북송대 물아(物我) 관계에 대한 재정립과 미적 태도: 구양수와 소식의 즐거움(樂)과 우의(寓意)를 중심으로.” 『미학』 제82권 3호, 2016
[사회미학]
1. “실존과 세계는 오직 미적으로만 정당화될 수 있다”는 니체의 주장을 ‘현대의 시작’이라는 견지에서 설명하시오.
2.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에 나타난 기술복제 시대의 아우라 위축에 대한 발터 벤야민의 논의를 설명하시오.
3. 테오도르 아도르노의 <문화산업론>을 약술하고 이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4. 예술은 “진리의 작품 속으로의 자기정립”이라는 마르틴 하이데거의 명제를 고흐의 구두 그림을 예로 들어 설명하시오.
5. “시각적 쾌락과 서사영화”에 나타난 로라 멀비의 페미니즘 영화이론을 약술하고 이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참고문헌
– 니체, 박찬국 번역, 『비극의 탄생』, 아카넷, 2007
– 벤야민, 최성만 번역,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사진의 작은 역사 외』, 길, 2007
심철민 번역,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도서출판 b, 2017
– 아도르노, 호르크하이머, 김유동 번역, 『계몽의 변증법』, 문학과지성사, 2001
– 김문환, 『비판이론의 예술이해』, 이학사, 2016
– 함머마이스터, 신혜경 번역, 『독일미학전통』, 이학사, 2013
– 코스마이어, 신혜경 번역, 『페미니즘미학 입문』, 경성대학출판부, 2009
[프랑스미학]
1. What was the Quarrel of Ancients and Moderns? Describe the origins of the debate and what was at issue. What were some of the deeper philosophical questions it raised?
2. Existentialist aesthetics often refers to “committed” or “engaged” literature (littérature engagée). What does this expression mean? How might it be related to the existentialist mantra that “existence precedes essence”?
3. One consequence of the movement known as “structuralism” is the so-called “death of the author.” What kind of “death” is at issue here? How is it related to ou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the author or artist in the production of art?
4. In the late 20th Century, many French thinkers turned from the aesthetic value of beauty to that of the sublime. How is an aesthetics of the sublime meant to differ from that of the beautiful? What might explain this renewed interest in the sublime?
5. Much 20th Century film theory depends on the psychoanalytical notion of “the gaze” (le regard). What does this term mean in this context? How has it been used to think about gender or sexual difference in the context of art?
참고문헌
– Fumaroli, Marc, La Querelle des Anciens et des Modernes (Paris: Gallimard, 2001).
– Scholar, Richard, “Aesthetics: Ancients and Moderns,” The Cambridge History of French Thought, ed. by Michael Moriarty and Jeremy Jenning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 pp. 183–88.
– Taylor, Helena, “The Quarrel of Ancients and Moderns,” French Studies: A Quarterly Review, Volume 74, Number 4, October 2020, pp. 605-620.
– Tsien, Jennifer and Jacques Morizot, “18th Century French Aesthetics,”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URL = <https://plato.stanford.edu/archives/win2019/entries/aesthetics-18th-fren…
– Flynn, Thomas R. Existential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 Sartre, Jean-Paul. “Qu’est-ce que la littérature?” Situations III (Paris: Gallimard, 2013 (1949)), pp. 9-267. In English: “What is Literature?” and Other Essay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8).
– Ungar, Steven. “Introduction” to “What is Literature?” and Other Essays, pp. 1-20.
– Barthes, Roland. “La mort de l’auteur,” Oeuvres complètes Tome III 1968-1971 (Paris: Éditions du Seuil, 2002), pp.40-5. In English: “The Death of the Author,” Image-Music-Text (New York: Hill and Wang, 1977), pp. 142-8.
– Seymour, Laura. An Analysis of Roland Barthes’s The Death of the Author (London: Macat International, 2017).
– White, Ed. “The Death of the Author,” How to Read Barthes’ Image-Music-Text (London: Pluto Press, 2012), pp. 111-22.
– Du Sublime (Paris: Belin, 1988). In English: Of the Sublime: Presence in Question (Albany: SUNY, 1993).
– Lyotard, Lean-François. “Le sublime et l’avant-garde,” L’inhumain: Causeries sur le temps (Paris: Klincksieck, 2014), pp. 91-106. In English: “The Sublime and the Avant-Garde,” The Inhuman: Reflections of Time, trans. G. Bennington and R. Bowlb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1), pp. 89-107.
– Shaw, Philip. The Sublime (London & New York: Routledge, 2006).
– Copjec, Joan. Read My Desire: Lacan against the Historicists (Cambridge, Mass.: MIT Press, 1994).ㅁ
– Lacan, Jacques. Le Seminaire de Jacques Lacan Livre XI, Les quartre concepts fondamentaux de la psychanalyse (Paris: Éditions du Seuil, 1973). In English: The Seminar of Jacques Lacan Book XI, The Four Fundamental Concepts of Psychoanalysis (New York& London: Norton, 1981).
– Mulvey, Laura. Visual and Other Pleasures (London: Palgrave Macmillan, 2009).
– Rose, Jacqueline. Sexuality in the Field of Vision (London & New York: Verso, 2006).
[영미미학]
1. ‘예술 정의(definition)’의 문제에 대해 초기 분석미학자들이 취한 입장을 그들의 방법론적 배경과 함께 설명하고, 이를 비판하며 등장한 현대적 예술정의의 사례, 특징, 의의를 설명하시오.
2. ‘미적 태도’나 ‘미적 경험,’ 또는 ‘미적 속성’에 관한 논의를 포함하여, 현대 분석 미학에서 ‘미적인 것(the aesthetic)’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설명하시오.
3. 작품의 의미를 해석함에 있어 작가의 의도가 하는 역할에 대한 서로 다른 입장과 그 근거들을 설명하고, 자신이 타당하게 여기는 입장의 관점에 서서, 관련된 논증과 사례들을 평가하시오.
4. ‘예술로부터 지식을 얻는 것이 가능한가’라는 문제와 관련된 서로 다른 입장과 그 근거들을 설명하고, 자신이 타당하게 여기는 입장의 관점에 서서, 관련된 논증과 사례들을 평가하시오.
5. 허구인 예술 작품에 대한 우리의 정서 반응에는 역설적인 성격이 있다고 하는데, 그 내용과 그것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견해들을 설명하고, 자신이 타당하게 여기는 입장의 관점에 서서, 관련된 입장들을 평가하시오.
참고문헌
– 레빈슨 엮음, 김정현 외 4인 번역, 『미학의 모든 것』, 북코리아, 2018
[사진 및 영상 미학]
1. 사진의 존재론에서 ‘지표(index) 이론’을 설명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2. 에드가 모랭(Edgar Morin)의 영화이론을 ‘상상’의 개념을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3. 에티엔느 쥘 마레(Étienne-Jules Marey)가 영화의 발명에 기여한 바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영화의 근본원리를 서술하시오.
4. 빌렘 플루서의 매체철학에서 의미하는 ‘이미지 문맹’에 대해 설명하시오.
5. 롤랑 바르트의 <밝은 방(camera lucida)>에 나타난 푼크툼(punctum) 개념을 비판적으로 서술하시오.
참고문헌
– 필립 뒤봐. 이경률 번역, 『사진적 행위』, 사진마실, 2005
– 프란체스코 카세티, 김길훈, 김덕수, 김건 번역, 『현대 영화 이론:1945~1995년의 영화 이론』, 한국문화사, 2012
– 빌렘 플루서, 윤종석 번역, 『사진철학을 위하여』,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 롤랑 바르트, 김웅권 번역, 『밝은 방』, 동문선, 2006
– 박상우, 『포톨로지』, 문학동네, 2019
– 박상우, 『롤랑 바르트, 밝은 방』,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
[미술 이론]
1. 그림에서의 그린버그의 모더니즘을 인상주의-후기인상주의-큐비즘-추상표현주의-색채추상-미니멀리즘의 순으로 구체적 특징을 거론하며 서술하시오.
2. 의도주의 비평과 형식주의 비평을 설명한 후, 형식주의 비평은 자크 데리다의 ‘차연’을 통해 그리고 의도주의 비평은 롤랑 바르트의 ‘저자의 죽음’을 통해 비판하시오.
3. 뵐플린을 통해 다음을 설명하시오.
1) 양식의 이중근원이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2) 르네상스 미술 양식과 바로크 미술 양식을 다섯 쌍의 기초형식으로 비교하시오.
4. 미술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변을 모방론-표현론-형식론-정의불가론-제도론-다원론의 순으로 구체적 작품을 거론하며 서술하시오.
5. 루돌프 이른하임의 ‘perceptual concept’에 대해 그가 인용하는 실험을 바탕으로 설명하시오.
6. 국내 미술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오브제’라는 단어는 적절한 근거가 없는 단어라는 점을 설명하시오.
7. Charles Batteux가 제안한 ‘fine arts’라는 단어에서 ‘fine’이 ‘아름다운’으로 번역되기에 불충분하다는 점을 설명하시오.
참고문헌
– 뵐플린, 박지형 번역, 『미술사의 기초개념』, 시공사, 1994
– 김진엽, 『다원주의 미학』, 책세상, 2012
– 김진엽, 「새로운 라오콘 속으로 : 그린버그의 미술비평에 대하여」, 『미학』 제26권, 1999
– Rudolf Arnheim, Art and Visual Perception, The New Vers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Charles Batteux, The Fine Arts Reduced to a Single Principle, translated by James Young,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Translator’s Introduction & Part One.
최종 업로드 및 확인: 2024. 4. 29.